AI/데이터 특수대학원 관련하여 두 번째로 알아본 대학원은 고려대 인공지능융합학과였다.
기본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.
학교 : 고려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대학원
계열 : 공학계열
전공 : 인공지능융합학과
2022 전기 입학 기준
원서 접수 : 21.10.12 ~ 21.10.19
서류 제출(우편 / 방문) : 21.10.12 ~ 21.10.20
면접 일정 : 21.11.13
공통 필요서류 : 제출서류 목록(서명해야 함), 입학지원서, 연구계획서, 졸업(예정)증명서, 성적증명서
추가 제출서류 : 재직 및 경력증명서, 기타 자격증 등
전형료 : 75,000원
입학금 : 1,234,000원
등록금 : 6,563,000원
전형료 + 입학금 + 5학기 등록금을 전부 합치면 대략 3천 5백만원 조금 안되는 비용이 발생
수업 진행 시간 : 주중 온라인 & 오프라인 (코로나 상황에 따라 다름)
(월, 화, 목 : 18:45부터)
총 학기는 5학기로 성대, 한양대, 서강대 등에 비해 다소 학기가 길다는 특징이 있다.
학기가 긴만큼 더 많은 내용을 배울 수 있을 것 같다는 기대감도 있었고, 특수대학원이지만 만약 논문을 꼭 쓰고 졸업하고 싶은 분이 계시다면 1년 반 ~ 2년보다는 좀 더 안정적으로 논문에 시간을 투자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.
컴퓨터정보통신대학원 주소는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145 고려대학교 자연계캠퍼스 우정정보관 103호로 나와있다.
~ 필자의 사례 ~
고려대는 빅데이터융합학과와 인공지능융합학과 사이에서 고민을 많이 했는데 개인적으로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최적화 모델을 설계하는 것에 관심이 있어 인공지능 커리큘럼이 조금 더 딥한 깨달음을 줄 것 같아 지원하게 되었다.
나에게 고대가 가장 매력적인 요소는 대학교 네임밸류였다. 그리고 특수대학원을 준비하면서 이것저것 자료를 찾다보니 전반적으로 고대가 인공지능과 관련하여 그간 많은 연구를 진행하였고 많은 실적을 낸 것으로 보였다. 거의 전부 일반대학원의 명성에 따른 실적이겠지만, 일반대학원 교수님들이 특수대학원 수업도 진행하시니 그 만큼 수업의 수준이 높을 것으로 기대했다.
성균관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융합학과 면접을 보면서 아무리 특수대학원이라도 전공에 대한 전반적 지식이 없으면 면접장에서 아무 말도 못하고 돌아올 수 있겠구나라는 경험을 통한 깨달음이 있었기에.. 이번에는 면접전까지 최대한 인공지능 기술과 관련한 지식을 습득하려고 노력했다.
결론부터 말하면 떨어졌다...
뭔가.. 데자뷰 같지만.. 떨어졌다 ^-^...
고려대의 경우 대면 면접으로 진행하였고 5인 1조로 들어가 면접을 보았다. 면접관은 2명이었는데 한 분은 나이가 좀 있으신 교수님 같아 보였고, 다른 한 분은 박사과정? 혹은 조교수님 정도로 보였다. (박사 과정이신게 맞는거 같다...)
이때 교수님 같은 분이 개인적인 질문들(직장과 관련된, 왜 이 공부를 하는지? 등의 지원자 정보 바탕)을 진행하셨고
박사과정 같은 분이 학문적인 질문들을 진행하셨다.
질문의 순서는 끝에서 끝으로 하나씩 다른 질문을 물어보셨고 당시 나온 질문들은 정확히 생각 안나지만 대충 이랬던 거 같다.
학문적인 질문들
- Rank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(뜻, 사용법, 원리)
- Baysian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(뜻, 사용법, 원리)
- PCA(주성분분석)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(뜻, 사용법, 원리)
총 5명의 지원자가 들어갔기에 질문도 5개였지만 2가지는 약간 멘붕이 왔어서 그런지 생각이 안난다...
현재는 좀 두리뭉실하게 질문에 대하여 적어놨지만, 당시에 면접관님이 질문할 때는 굉장히 디테일하게 물어보셨던거 같다. 그래서 면접장 내부에 있던 지원자들 중 질문에 제대로 답변한 사람이 없었고 나도 그 중 하나였다...
개인적인 질문들
- 현재 진행중인 업무에 대한 소개와 인공지능을 업무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?
- 직장인들이라 퇴근하고 공부하기 힘들텐데 끝까지 지치지 않고 해낼 수 있을 것인지?
이 두가지 질문을 5명의 지원자들이 돌아가면서 전부 대답했다. 이 부분은 딱히 준비하지 않았어도 특대를 지원할 당시에 한 번쯤 생각해봤던 부분일 것이라 답변을 다들 잘 하셨다.
면접 후 그리고 불합격을 통지 받은 후 생각해보면...
성대 면접을 볼 당시에도 그랬지만 역시.. 학문적인 부분에 제대로 대답을 하지 못하면 좋은 결과로 이어지지 못하는 듯하다.
인공지능/데이터 관련 특수대학원이 인기가 많아 현재 매년, 매 반기 입학 시즌마다 치솟는 경쟁률을 보여주고 있다.
성대는 당시 어림잡아 6:1~7:1 정도의 경쟁률이었던거 같고 고려대도 명단을 확인해보니 못해도 5:1 이상이었던 것 같다. 이렇게 지원자가 넘치다 보니 결국 정량적인 스펙은 기본이고 기초적인 학문에 대한 학습과 이해가 있어야 특수대학원을 진학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.
다음은 한양대학교 인공지능시스템학과에 대해 리뷰해보는 시간을 갖겠다.
'대학원 > 알아보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양대학교 특수대학원 인공지능시스템학과 알아보기 그리고 후기 (0) | 2022.01.07 |
---|---|
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데이터사이언스융합학과 알아보기 그리고 후기 (0) | 2021.12.27 |
대학원에 대한 고찰 (0) | 2021.09.25 |